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공항버스 6300

덤프버전 :

||
[ 펼치기 · 접기 ]

공항
리무진
N6000[A]N6001N60026003[B]
6004600560076008
6010601160126013
6014[B]601560166017
601860196021[A]6030
한국
도심공항
61006101[A]61026103
6105[A]
K-리무진N67016702N67036705A/B
6707A[B]
서울공항
리무진
6006600960206200
63006600
[A] 김포공항이 기점인 노선 / [B] 김포공항 경유 노선



파일:Seoul6300-a.png

1. 노선 정보
1.1. 폐지된 노선
2. 개요
3. 역사
4. 특징
4.1. 시간표
5. 연계 철도역
6. 둘러보기


1. 노선 정보[편집]


공항버스 6300번
[ 지도 노선도 보기 ]
기점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동(고덕역)종점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(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)
종점행첫차04:00기점행첫차05:30
막차19:50막차22:45
배차간격15~60분
운수사명서울공항리무진인가대수17대[1]
노선고덕역 - 배재중고교 - 명일동국민은행 - 명일역 - 굽은다리역 - 길동역 - 둔촌동역 - 올림픽공원역 - 방이동 - 오금역 - 경찰병원 - 가락시장 - 수서역 - 동부간선도로 - 올림픽대로 - 88JC -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- 인천공항T1(하차: 3층/승차: 1층 4A) - 인천공항T2(하차: 3층/승차: 지하1층 16번홈)

중간 출발 정류장
인천공항T2 방향선수촌아파트4:00
고덕역 방향없음

1.1. 폐지된 노선[편집]


공항버스 6300-1번
기점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동(고덕역)종점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(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)
종점행첫차04:35기점행첫차07:25
막차18:15막차22:25
평일배차60~90분주말배차60~90분
운수사명서울공항리무진인가대수-
노선고덕역 - 명일역 - 길동역 - 둔촌동역 - 올림픽공원역 - 방이동 - 오금역 - 가락시장 - 수서역 - 동부간선도로 - 올림픽대로 - 88JC -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-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


2. 개요[편집]


서울공항리무진에서 운행하는 공항리무진 버스로 왕복 운행거리는 168km다.전체 정류장 목록


3. 역사[편집]



  • 2010년 7월 15일에 기점이 길동사거리로 단축되었다.

  • 2011년 5월 11일에 '둔촌동역 - 잠실역 - 종합운동장 - 코엑스' 구간이 '한영외고 - 둔촌동역 - 수서역'으로 변경되었다.


  • 2016년 11월 9일에 6600번이 분리신설되었다.

  • 2018년 1월 15일에 인천공항 제2터미널까지 연장되었으며, 1터미널까지만 운행하는 6300-1번이 분리신설되었다.

  • 2018년 3월 13일부터 고덕역 출발 첫차 시간이 새벽 3시 20분으로 대폭 앞당겨졌다.

  • 2018년 7월 12일부터 9월 2일까지 한시적으로 운행횟수를 3회 증회해 운행했다. 관련 공문

  • 2019년 5월 22일부로 6300-1번이 6300번에 통합되었다. 공지사항




  • 2022년 6월 21일부로 1일 3회 운행으로 증편되었다.



  • 2022년 10월 18일부로 1일 15회 운행으로 증편되었다. #

  • 2022년 12월 1일부로 1일 21회 운행으로 증편되었다.

  • 2022년 12월 17일부로 1일 27회 운행으로 증편되었다.

  • 2023년 2월 16일부로 1일 30회 운행으로 증편되었다.

  • 2023년 3월 1일부로 1일 33회 운행으로 증편되었다.

  • 2023년 4월 20일부로 1일 42회 운행으로 증편되었다.

  • 2023년 6월 1일부로 1일 45회 운행으로 증편되었다. #

  • 2023년 7월 1일부로 1일 46회 운행으로 증편되었다. *


4. 특징[편집]


  • 마지막 정류장인 수서역부터 인천공항 제1터미널까지 막히지 않을 경우 약 55~60분 소요된다. 단, 다른 공항버스 선택지가 없으면서도 기점과 거리가 먼 올림픽훼밀리타운이나 수서역 근방에서는 아침과 같은 인기 시간대에 좌석이 거의 만석이 되는 경우가 많다.

  • 2023년 현재까지도 지정 좌석제를 운영하지 않고, 무려 선착순으로 탑승하고 있으니 표를 구매하였다고 좌석이 보장되지 않는다. 따라서 인천공항에서 탈 때에 미리 승차장에서 줄을 서고 있어야 한다.

  • 푸른마을 사람들은 근처에 6009번이 있지만, 6300번이 더 빠르기 때문에 수서역으로 오는 경우가 있다.


  • 지방에서 인천공항으로 갈때 KTX 표가 매진되었다면 SRT를 타고 수서역에 하차 후 전철역과 직결통로을 이용해 3번 출구로 나와서 수서역.현대벤처빌 정류장으로 간 다음 이 노선을 이용하면 된다. 다만 KTX+6770번 조합에 비해선 시간이 더 소요되며 강릉과 원주, 춘천은 SRT가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강릉과 원주에서는 강남고속터미널행 고속버스를 타고 강남터미널로 가서 6020번을 타고 가야 한다. 춘천은 ITX-청춘을 타고 용산역으로 간 뒤 6001번 공항리무진을 타야 한다.

4.1. 시간표[편집]


#


5. 연계 철도역[편집]




6. 둘러보기[편집]


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1-13 13:27:03에 나무위키 공항버스 630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실제로는 16대 운행[2] 고속철도수서역 정류장이 아닌 수서역로즈데일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내려서 400m를 걸어야 한다.